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 피아제에 따르면,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조작적 도식을 실제 또는 상상이 가능한 사물이나 상황, 사건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고의 폭이 제한적이다. 즉,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실제로 존재하고 있거나 존재하였던 물체에 대해서만 정확한 추론을 내릴 수 있다. 예컨대, 7~11살 사이의 아동은 관계적 논리를 추상적 지표에 적용하지 못한다. 반면에, 11~13세에 처음 나타나는 형식적 조작은 개념과 명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정신적 활동이다. 그러므로 형식적 조작기 아동은 현실에는 아무런 근거가 없는 가설적 과정과 사건에 대해 상당히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더 이상 실제적이고 유형적인 것만을 바탕으로 사고하지 않는다. 피아제는 형식적 조작기의 특징을 가설-연역적 추론이라 명명하였다. 연역적 추론은 .. 2022. 7. 20.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 피아제가 말하는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인지적 조작을 빠르게 습득하고 자신이 경험한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생각할 때 이를 적용한다. 앞서 사려본 바와 같이, 인지적 조작은 내적 정신 활동으로서 아동은 이를 통해 심상이나 상징을 수정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논리적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인지적 저장고 안에 이러한 강력한 새 조작을 겸비하게 된 학령기 아동은 전조작기의 정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빠르게 인지적 발달을 보인다. 또한 전조작기 아동이 가졌던 한계점들이 구체적 조작 단계에 이르러 보다 약화한다. 구체적 조작 단계 아동은 피아제의 여러 보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 예컨대, 7세 아동에게 액체 보존 문제를 제시하면 이 아동은 동시에 두 용기의 높이와 너비 모두에 집중함으로써 탈중심화를 할.. 2022. 7. 20.
피아제의 전조작기 피아제가 말하는 전조작기에 들어선 아동은 마주하는 대상과 사건을 표상하는 데 있어 이전 단계에 비해 정신적 상징을 훨씬 더 많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상징이란 어떤 것을 나타내는 다른 어떤 것이다. 예컨대, "개"라는 단어는 다리가 넷이고 자그마한 체구를 가진 애완동물을 표상한다. 한 실체가 그 이외의 어떤 것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을 표상적 통찰이라 하였다. 피아제에게 있어서 상징 사용의 가장 분명한 증거는 언어였다. 또 다른 예로 지연 모방, 그림 그리기, 정신적 심상, 상징적 놀이를 들었다. 이러한 형태의 상징 행위들은 생후 2세 된 아동 대부분에게서 나타나며, 아동이 상징을 사용하는 방식은 향후 10~12년에 걸쳐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러나 아동이 이러한 중요한 능력을.. 2022. 7. 14.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 피아제는 인지 발달 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였다. 그러한 단계들은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이다. 이러한 지적 성장단계는 질적으로 서로 다른 인지적 기능을 가지며, 피아제가 불변적인 발달순서라고 부르는 것을 형성한다. 피아제의 주장에 따르면, 모든 아동은 정확히 같은 순서대로 이 단계들을 거치며, 각 연속적인 단계는 이전의 단계에서의 성취를 바탕으로 진전되기 때문에 어느 한 단계도 뛰어넘을 수 없다. 비록 피아제는 지적 발달 단계의 순서가 불변이라고 믿었지만, 아동이 각 단계에 들어서거나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연령에는 엄청난 개인차가 존재함을 인식하였다. 실제로 그는 문화적 요인과 기타 환경적 영향이 아동의 지적 성장 속도를 올리거나 반대로 지체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위 인지발.. 2022. 7. 14.